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 및 신체질환

무발화 언어지연 원인과 특징 및 치료방법

by 니디24 2025. 2. 27.

무발화 언어지연(Nonverbal Speech Delay)은 특정 연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 아기가 말을 전혀 하지 않거나, 단어 수준에도 도달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보통 만 1~2세 사이에는 의미 있는 단어나 옹알이를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, 무발화 상태라면 이 시기가 지나도 말을 하지 않거나, 의사소통이 거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 무발화 언어지연의 원인, 특징, 진단 기준, 치료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
1. 무발화 언어지연이란?

보통 아이들은 생후 12개월 전후로 첫 단어(엄마, 아빠 등)를 말하기 시작합니다. 그러나 무발화 언어지연이 있는 경우, 이 시기가 지나도 말을 하지 않거나, 단어 사용이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.

✅ 언어지연(언어발달지연)과의 차이

  • 언어지연: 또래보다 말이 늦지만, 비언어적 의사소통(손짓, 표정 등)은 가능
  • 무발화 언어지연: 말을 거의 하지 않으며, 비언어적 표현조차 부족할 수 있음

2. 무발화 언어지연의 주요 원인

무발화 상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 신경학적, 환경적,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. 가장 안타까운 원인은 아이가 발달장애 및 자폐 증상이 있을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.

1) 발달적 요인

  • 언어 발달이 자연스럽게 늦어지는 경우 (늦된 아동)
  • 가족력이 있는 경우 (부모 중 한 명이 어릴 때 말을 늦게 한 경우)

2) 청각 문제

  • 난청이 있는 경우, 소리를 듣고 모방하는 과정이 어려워 발화가 늦어질 수 있음

3) 환경적 요인

  • 언어적 자극 부족: 부모가 아이와 대화를 자주 하지 않는 경우
  • 과도한 미디어 노출: TV, 스마트폰 등 영상에만 노출될 경우 대화할 기회가 적어짐

4) 심리적 요인

  • 불안, 트라우마: 감정적으로 불안한 환경에서 자란 경우 말하기가 지연될 수 있음
  • 선택적 함묵증(Selective Mutism): 특정 상황에서만 말을 하지 않는 경우

5) 장애 요인 : 병적 증상인 경우

  •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: 언어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어려움을 겪음
  • 지적 장애(발달장애): 전반적인 인지 발달이 지연됨
  • 언어 처리 장애(Speech Processing Disorder): 말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이 저하됨

3. 무발화 언어지연의 주요 특징

무발화 언어지연이 있는 아이들은 단순히 말을 하지 않는 것 외에도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.

1) 언어적 특징

  • 생후 12~18개월이 지나도 의미 있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음
  • 2~3세가 되어도 짧은 문장을 말하지 못함
  • 말보다는 몸짓, 손짓, 울음 등으로 의사 표현

2) 사회적 특징

  • 또래 친구들과 상호작용이 부족하거나 관심이 적음
  • 눈을 맞추는 시간이 짧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
  • 타인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음

3) 감각적 & 행동적 특징

  • 특정 소리(예: 자동차 소리, 전자제품 소리)에 민감하거나 무반응
  •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 (손 흔들기, 빙글빙글 돌기 등)
  •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거나, 특정 장난감/행동에 지나치게 집착

4. 무발화 언어지연의 진단 기준

언어 지연이 있다고 해서 모든 경우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. 그러나 아래 기준에 해당한다면 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1) 언어 발달 지연 경고 신호

  • 12개월 이후에도 옹알이가 거의 없음
  • 18개월이 되어도 의미 있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음
  • 24개월이 되어도 두 단어 이상을 조합한 문장을 사용하지 않음
  • 주변 소리에 대한 반응이 둔함 (청각 문제 가능성)
  • 비언어적 의사소통(손짓, 눈맞춤 등)이 부족

2)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경우

  • 언어뿐만 아니라 사회성, 인지 발달에서도 문제가 의심될 때
  • 가족력이 없는데도 또래보다 현저히 발달이 늦을 때
  • 특정 소리에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반응이 없을 때

부모가 "괜찮겠지"라고 기다리기보다는, 2세 이전이라도 이상 신호가 보이면 조기 개입이 중요합니다.

5. 무발화 언어지연 치료방법

1) 언어 자극을 늘리기

  • 많이 말 걸어주기 – 아이가 반응하지 않아도 계속 말을 걸어야 함
  • 반복적인 단어 사용 – "이거는 공이야!", "공 던져볼까?" 등 반복 노출
  • 노래, 동화책 활용 – 리듬감 있는 언어가 언어 발달에 도움

2) 비언어적 소통 강화

  • 손짓, 표정, 눈맞춤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
  • 아이가 말을 못 해도 의도를 이해하고 반응해 주기

3) 미디어 사용 줄이기

  • TV, 스마트폰 노출을 최소화
  • 영상이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유도

4) 놀이 치료 & 말하기 연습

  • 인형 놀이, 역할극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 노출
  • 아이가 소리를 내면 칭찬하며 반응 유도

5) 전문가 상담 & 조기 치료

  • 2세가 지나도 발화가 없다면 언어치료사 상담 권장
  • 난청 의심 시, 청력 검사 필수
  •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 가능성 있을 경우 발달 검진 필요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