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행정사무관을 영어로 뭐라고 써야 하지?” “9급은 Assistant인가 Clerk인가?” 이런 고민, 실제로 문서 하나 쓰려다가 멈춘 적 많으시죠. 특히 해외기관이나 국제 문서용으로 쓸 때는 더더욱 애매해지기 쉽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아래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.
- 공무원 계급별 영문 번역
- 실무에서 통용되는 표현 방식
- 국외 기관에도 통하는 자연스러운 표현법
한국 공무원 계급체계 요약
한국의 일반직 공무원은 총 9단계입니다. 1급(고위)부터 9급(신입)까지이며, 여기에 ‘과장’, ‘사무관’, ‘주무관’ 등의 직책이 함께 쓰입니다.
공무원 계급별 영어 번역표
한국어 계급 | 영문 번역 예시 | 비고 |
---|---|---|
1급 (고위공무원단) | Senior Executive Officer | 차관급 이상 / 국장급 |
2급 | Director General | |
3급 | Deputy Director General | |
4급 (서기관) | Director | 과장급 |
5급 (사무관) | Deputy Director / Assistant Director | 팀장 또는 실무 책임자 |
6급 (주사) | Assistant Manager / Principal Officer | 주무관 |
7급 (주사보) | Officer / Associate Officer | |
8급 (서기) | Junior Officer / Assistant Officer | |
9급 (서기보) | Clerk / Entry-level Officer | 신입 공무원 |
※ 실제 문서에서는 조직 문화와 맥락에 맞게 유연하게 번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직책·직위 번역 시 유의사항
- ‘사무관’이라고 해서 무조건 “Officer”로 번역하지 않습니다.
- 해외에서는 “Director”, “Manager” 같은 용어가 더 직관적이고 위계도 분명합니다.
- 과장 = Manager 정도면 충분한데, Director라고 번역하면 오히려 직위가 과장돼 보일 수 있습니다.
- ‘Public Official’, ‘Civil Servant’는 공무원 전체를 말할 때 쓰는 일반 용어입니다.
자주 쓰이는 실무 표현 모음
- Ministry of ~ : ~부 (예: Ministry of Education)
- Division / Bureau / Department : 과 / 국 / 부서
-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 : 공무원 시험 합격자
- Government Official / Public Officer : 공무원 일반 표현
- National / Local Government Officer : 국가직 / 지방직
상황별 번역 방식 추천
상황 | 추천 번역 방식 |
---|---|
공식 문서 / 국제 제출용 | 직책 + 직위 + Grade 병기 |
이력서 / 자기소개서 | 실제 역할 중심 번역 + 계급 병기 |
이메일 / 일반 소개 | 직책만 간단하게 (예: Deputy Director) |
맺음말
공무원 직급의 영어 번역은 단순히 '맞는 단어'를 찾는 것이 아닙니다. 문맥, 대상, 전달 목적에 따라 조절하는 센스가 중요합니다. 특히 이력서나 해외 제출 문서는 직위(역할) + 계급(Grade) + 기관명이 함께 있어야 신뢰도와 가독성이 동시에 올라갑니다.
'생활정보 및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속도로 1차로 이용방법 및 주의사항 (0) | 2025.04.26 |
---|---|
다이소 매장픽업 방법 총정리 :: 바코드 생성까지 한눈에! (0) | 2025.04.26 |
전기세 많이 잡아먹는 가전제품 순위 :: 절전 꿀팁 (0) | 2025.04.22 |
블루라이트 차단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? :: 차단방법은? (0) | 2025.04.20 |
주방 악취 제거 제대로 하는 꿀팁 (0) | 2025.04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