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대인관계 및 정신건강

자폐와 지적장애, 어떻게 구별할까?

by 니디24 2025. 3. 1.

자폐(자폐스펙트럼장애, ASD)와 지적장애(ID)는 모두 발달장애의 한 종류이지만, 각각의 특징과 원인, 증상이 다릅니다. 두 장애가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, 정확한 이해와 구별이 중요합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자폐와 지적장애의 차이점과 구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1. 자폐와 지적장애의 정의

먼저 각각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• 자폐스펙트럼장애(ASD)
  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며, 반복적인 행동과 제한된 관심사를 보이는 신경발달장애.
  • 지적장애(ID, Intellectual Disability)
    지적 기능(문제 해결, 학습 능력)과 적응 능력(일상생활, 사회생활)에 어려움을 겪는 발달장애.

자폐는 사회적 의사소통과 행동의 패턴에 초점을 맞추고, 지적장애는 지능과 일상 적응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.

2. 주요 차이점 비교

구분 자폐스펙트럼장애(ASD) 지적장애(ID)
지능 수준 다양함 (평균~높은 지능 포함) 평균 이하 (IQ 70 이하)
사회적 상호작용 타인과 관계 맺기 어려움, 눈 맞춤 회피 사회적 관계는 가능하나, 이해력이 부족할 수 있음
언어 발달 언어 발달 지연 또는 독특한 말투, 반복적 표현 전반적으로 언어 이해 및 사용 능력이 낮음
반복적 행동 특정한 패턴의 행동 반복 (예: 손 흔들기, 특정한 동작 반복) 반복적 행동보다는 전반적인 학습 능력 부족
일상생활 적응 스스로 가능하지만 특정한 방식 고집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도움 필요

3. 구별하는 핵심 포인트

어떤 점을 보면 자폐와 지적장애를 구별할 수 있을까요?

  • 사회적 상호작용: 자폐는 타인과 관계 맺기 어려움, 지적장애는 관계를 맺지만 이해력 부족.
  • 언어 사용: 자폐는 특정한 단어를 반복하거나 독특한 말투를 가질 수 있음, 지적장애는 전반적으로 언어 능력이 낮음.
  • 반복 행동: 자폐는 특정한 행동이나 습관을 반복적으로 수행, 지적장애는 반복적 행동보다 학습 능력 저하가 특징.
  • 지능 수준: 자폐는 지능이 다양하지만, 지적장애는 평균 이하(IQ 70 이하)로 진단됨.

4. 자폐와 지적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

자폐와 지적장애는 별개의 장애이지만, 일부 사람들은 두 가지 장애를 동시에 가질 수 있습니다.

  • 자폐인 중 약 30~50%가 지적장애를 동반할 수 있음.
  • 이 경우,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와 함께 인지적 학습 능력에도 어려움이 나타남.
  • 개인의 강점과 어려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 지원이 필요함.

5. 정확한 진단과 지원이 중요

자폐와 지적장애는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• 자폐 의심: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문제, 반복적 행동이 있는 경우.
  • 지적장애 의심: 지능과 적응 능력이 전반적으로 낮은 경우.
  • 종합적인 평가 필요: 심리검사, 언어치료 평가, 행동 관찰을 통해 진단.

조기 진단을 받으면 적절한 교육과 치료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
마무리

자폐와 지적장애는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, 핵심적인 차이점이 있습니다.

  • 자폐: 사회적 상호작용과 반복적 행동에 초점.
  • 지적장애: 지능과 학습 능력 저하에 초점.
  • 정확한 진단과 조기 개입이 중요.

 

댓글